프로그래밍9 Docker의 사용법 도커란 도커내 컨테이너를 이용해서 하나의 서버 안에서 독립된 여러개의 앱들을 서비스 할 수 있게하는 가상화 프로그램이다. 도커는 도커파일을 이용해 서버에서 동작될 App의 환경설정(nodejs의 버전, 라이브러리의 버전 등)을 설정해주고 그것을 build라는 명령어로 docker이미지로 만들어서 저장한다. 그 docker이미지를 내가 실행하고자하는 서버에서 다운을 받고 그 다운받은 이미지에 run이라는 명령어로 실행시켜 하나의 독립된 docker 컨테이너를 생성하게 된다. 도커의 기본 명령어 docker build [옵션] 도커파일의 위치경로 위치경로에 있는 도커파일을 이미지로 바꾸어주는 명령어 각각의 옵션에 대한 자세한 설명 https://docs.docker.com/engine/reference/co.. 2022. 10. 17. 마크다운(MarkDown) 문법 정리 제목(Header) # 다음에 한칸 띄어써야 정상적으로 작동함. 줄바꿈(Line Breaks) 글자 강조하기(Emphasis) 목록(List) 1. 순서가 있는 리스트 2. 순서가 없는 리스트 체크박스(CheckBox) [] 사이에 한칸 띄어써야 작동함. [] : X, [ ] : O 기본 코드블럭(CodeBlock) Tab을 써서 코드블럭 생성함 코드블럭 위로 한줄 띄어써야 작동함 언어별 코드블럭(CodeBlock) 링크(Link) 인용문(BlockQuote) 수평선(Horizontal Rule) 이미지(Image) 테이블(Table) 2번쨰 줄로 정렬 방식 설정 --- : 기본정렬 :---: : 양쪽정렬 :--- : 왼쪽정렬 ---: : 오른쪽정렬 2022. 9. 21. VSCode에서 마크다운 사용하기 VSCode 확장(extensions)으로 가서 Markdown All in One 다운받기 VSCode README.md 미리보기 우측상단 측면에서 미리보기 클릭 또는, Ctrl+k 누른후 v키 누르기 2022. 9. 21. 깃(git) 심화 명령어 ■ git commit 위치 변경 명령어 git checkout (commit주소) : 현재 HEAD를 commit 주소로 되돌림 git checkout HEAD^ : 현재 HEAD에서 한번 뒤에 있는 commit으로 되돌림 git reset --hard HEAD^^ : 현재 HEAD에서 뒤로 두개까지 완전 삭제함 git reset HEAD^ : 현재 HEAD에서 커밋 하나 삭제하지만 삭제한 commit 내용들은 unstage(git add 하기전)에 남아있음 git reset --soft HEAD^ : 현재 HEAD에서 커밋 하나 삭제하지만 삭제한 commit 내용들은 stage(git add 한 후)에 남아있음 ■ git branch git checkout -b (브랜치명) : 새 branch 만들기.. 2022. 9. 14. 이전 1 2 3 다음